섬유산업 동향

검색하기
제목
[시장동향] 미국 스니커즈 시장동향(KOTRA)
작성자
관리자
작성일
2020-10-16 13:38:17
조회수
7383
파일
미국 스니커즈 시장 동향
KOTRA 미국 로스앤젤레스무역관
     

- 2019년 한국산 스니커즈 대미 수출 전년 대비 8% 증가, 3년 연속 꾸준한 성장 이어져 -

- 코로나19로 타격받았으나, 지속되는 애슬레저 트렌드와 패션의 캐주얼화로 성장세 유지할 전망 -

 

 

 

□ 상품명 및 HS Code

 

  ? 상품명: 스니커즈

    - 일반 운동화와 유사하지만 장소와 관계없이 일상생활에서도 편하게 신을 수 있는 바닥이 고무 재질로 된 운동화류를 통칭함. 스니커즈에 주로 사용되는 소재로는 캔버스, 고무, 가죽, 합성소재 등이 있음.

 

  ? HS Code: 6404.19

 

□ 시장 규모 및 동향

 

  ? 시장 규모

    - 시장조사 전문기관 IBIS World의 미국 신발류 제조업 보고서(Shoe & Footwear Manufacturing in the US, 2020 3월 발간)에 따르면, 미국 신발류 제조업은 2020년 기준 약 191420만 달러 규모로 지난 2015년부터 5년간 연평균 성장률은 ?0.8%로 소폭 하락

    - 해당 시장의 수명주기는 쇠퇴기(Decline)에 해당하며, 2025년까지 향후 5년간 연평균 성장률 또한 0.1%로 당분간 정체가 이어질 것으로 예상

    - IBIS World의 미국 신발류 도매시장 보고서(Footwear Wholesaling in the US, 2020 8월 발간) 및 미국 신발 소매점 보고서(Shoe Stores in the US, 2020 3월 발간)에 의하면, 제조 이후 단계인 신발류 도·소매 시장규모는 2020년 기준 각각 약 311억 달러와 359억 달러로 집계

 

  ? 시장 동향

    - 미국 신발류 제조시장의 수출 규모는 2019년 기준으로 약 65600만 달러에 불과하지만, 수입 규모는 약 2727000만 달러로 수출액의 약 42배에 달해 미국 신발류 시장의 수입 의존도는 매우 높은 것으로 분석

    - 이는 노동 집약적인 신발 제조업의 특성에 의한 것으로, 향후에도 노동 경쟁력을 갖춘 지역으로부터의 높은 수입 비중이 유지될 전망임. 특히 중국이 아닌 베트남, 캄보디아, 인도와 같은 제2의 수입 시장 비중이 꾸준히 늘어날 전망

    - 수년 전부터 꾸준히 인기를 끌고 있는 ‘애슬레저(Athleisure)*’ 트렌드는 여전히 지속되고 있으며 특히 코로나19의 발생 이후 사회적 거리두기와 재택근무가 일상이 되어버린 지금, 많은 미국인의 패션이 캐주얼화 됨에 따라 스니커즈의 인기 또한 계속될 것으로 예상

<!__StartFragment__>

    주*: 운동을 의미하는 애슬레틱(Athletic)’과 여가를 뜻하는 레저(Leisure)’를 합친 스포츠웨어 업계의 용어 

    - 코로나19 팬데믹 초기에는 국가 및 지역별 록다운 조치로 소비자들의 바깥출입이 줄어들고 전반적인 경제가 타격을 입으면서 특히 의류 분야와 같은 여타의 소매업계와 같이 스니커즈를 포함한 신발류 시장도 매출에 큰 타격을 받았으나, 최근에는 서서히 회복세를 이어가는 것으로 보임.

 

□ 수입 동향

 

  ? 미국의 스니커즈 수입 동향

    - 2019년 미국이 수입한 스니커즈 상품은 약 451083만 달러 규모로, 전년 대비 3.74% 증가

    - 주요 수입국은 중국, 베트남, 이탈리아, 인도네시아, 캄보디아이며 중국산 스니커즈의 수입액은 전체 수입 시장의 절반 이상인 약 66%를 차지

    - 2019년 중국으로부터의 수입액은 약 296738만 달러로 집계됐으며, 전년 대비 2.41% 감소

    - 전년과 대비해 캄보디아와 인도로부터의 수입액 증가가 특히 눈에 띄며, 그에 반해 중국과 스페인으로부터의 수입은 소폭 감소

 

최근 3년간 미국의 스니커즈 수입 동향(HS Code 6404.19 기준)

                                                                                                                                      (단위: US$ 백만, %)

순위

국가

연도별 수입액

비중

증감률

2017

2018

2019

2017

2018

2019

▓/▒

-

전체

3,926.56

4,348.33

4,510.83

100.00

100.00

100.00

3.74

1

중국

2,995.88

3,040.62

2,967.38

76.30

69.93

65.78

-2.41

2

베트남

565.90

816.03

961.33

14.41

18.77

21.31

17.81

3

이탈리아

79.68

125.09

140.84

2.03

2.88

3.12

12.60

4

인도네시아

68.29

107.62

118.31

1.74

2.47

2.62

9.94

5

캄보디아

51.04

74.15

102.69

1.30

1.71

2.28

38.48

6

한국

25.45

35.95

38.88

0.65

0.83

0.86

8.14

7

도미니카공화국

18.95

23.35

24.20

0.48

0.54

0.54

3.68

8

멕시코

19.62

20.25

21.56

0.50

0.47

0.48

6.43

9

인도

6.59

5.75

19.11

0.17

0.13

0.42

232.47

10

스페인

16.46

17.52

16.19

0.42

0.40

0.36

-7.60

자료: Global Trade Atlas(2020.08.27.)

 

  ? 대한 수입 규모 및 동향

    - 2019년 미국의 한국산 스니커즈 수입액은 약 3888만 달러로, 전년 대비 8.14% 증가

    - 한국은 미국 전체 스니커즈 수입 시장에서 2019년 기준 6위를 기록했으며, 한국으로부터의 수입액은 최근 3년간 매우 지속적인 증가세를 유지

 

□ 경쟁 동향

 

  ? 경쟁 현황 및 주요 경쟁 기업

    - 미국 신발류 제조시장을 주도하는 기업은 운동화 및 스니커즈 제조사인 New Balance Athletics 2020년 기준 전체 시장의 약 25%를 점유하고 있으며, 그다음으로는 작업용 부츠 생산기업 Red Wing Shoes가 약 13%, 남성용 구두 제조사 Allen Edmonds Shoe가 약 5%를 점유

    - 대표적인 운동화 및 스니커즈 브랜드이기도 한 ‘New Balance’가 제조시장에서도 가장 큰 점유율을 기록 중

 

2020년 미국 신발류 제조시장 기업별 점유율

 

자료: IBIS World(Shoe & Footwear Manufacturing in the US, 2020 3월 발간)

 

    - 미국 신발류 도매시장의 경우, 역시 인기 스니커즈 브랜드인 ‘Converse’를 보유한 전문 스포츠웨어 기업 Nike가 전체 시장의 약 22%를 차지하며 1위를 기록함. 그 뒤로는 역시 운동화와 스니커즈를 포함한 스포츠 브랜드 기업인 Adidas Group이 약 6%를 차지

 

2020년 미국 신발류 도매시장 기업별 점유율

 

자료: IBIS World(Footwear Wholesaling in the US, 2020 8월 발간)

 

    - 제조시장과 도매시장 모두 운동화·스니커즈를 포함한 스포츠웨어 제조 및 유통 기업들인 New Balance Nike가 각각 가장 큰 점유율을 차지하며 미국 신발 시장 내의 운동화·스니커즈에 대한 인기를 증명

    - 미국 스니커즈 시장의 주요 경쟁 기업으로는 Nike, Adidas, New Balance를 꼽을 수 있음.

 

□ 주요 유통채널

 

  ? 오프라인 유통채널

    - 미국 신발류 도매시장에서의 주요 오프라인 유통채널은 전체에서 약 30%를 차지한 도매업체·유통업체임.

    - 그다음으로는 신발 전문 소매업체와 할인매장으로 각각 약 24%가 유통됨.

    - 한편, 신발류 소매시장에서 가장 큰 점유율을 기록한 유통채널은 대표적인 운동화·스니커즈 판매점인 Foot Locker Retail Inc..

 

2020년 미국 신발류 도매시장의 주요 유통채널

 

자료: IBIS World(Footwear Wholesaling in the US, 2020 3월 발간)

 

  ? 온라인 유통채널

    - IBIS World의 미국 온라인 신발 판매 시장 보고서(Online Shoe Sales in the US, 2019 6월 발간)에 의하면, 해당 시장의 매출은 2019년 기준 약 1467270만 달러 규모로 지난 5년간 연평균 8.1%씩 꾸준히 성장해 옴.

    - 온라인 신발 유통시장의 선두 기업은 단연 Amazon으로, Amazon 자체 플랫폼을 통한 신발 판매뿐 아니라 2009년 인수한 대규모 신발 판매 웹사이트인 Zappos까지 합해 전체 시장의 약 26%를 점유

    - 그 외에는 오프라인 판매점인 Foot Locker가 온라인 유통시장에서도 약 6%를 점유 중이며, Nike 역시 약 5%를 차지

 

□ 관세율 및 수입규제

 

  ? 관세율

    - U.S. International Trade Commission에 따르면, HS Code 6404.19는 하위 품목에 따라 7.5%에서 최대 48%까지의 일반 세율이 적용되지만, 한국산의 경우 1개의 품목(HS Code 6404.19.20)을 제외하고 모두 한미 FTA의 혜택으로 무관세가 적용됨.

 

HS Code

일반 관세율

한미 FTA 의거 특별 관세율

6404.19.15

10.5%

무관세

6404.19.20

37.5%

28.1%

6404.19.25

7.5%

무관세

6404.19.30

12.5%

무관세

6404.19.36

7.5%

무관세

6404.19.37

12.5%

무관세

6404.19.39

37.5%

무관세

6404.19.42

7.5%

무관세

6404.19.47

12.5%

무관세

6404.19.49

37.5%

무관세

6404.19.52

7.5%

무관세

6404.19.57

12.5%

무관세

6404.19.59

48%

무관세

6404.19.61

12.5%

무관세

6404.19.69

37.5%

무관세

6404.19.72

7.5%

무관세

6404.19.77

12.5%

무관세

6404.19.79

켤레당 90? + 37.5%

무관세

6404.19.82

7.5%

무관세

6404.19.87

12.5%

무관세

6404.19.89

켤레당 90? + 20%

무관세

6404.19.90

9%

무관세

자료: U.S. International Trade Commission

 

  ? 수입 및 통관 제도

    - 한·미 FTA 협정상 원산지 결정 기준에 따라 한국산으로 인정받는 제품은 통관 시 원산지 증명서 등의 필요서류를 갖춰야 하며, 세관에서 제출을 요구하지 않아도 미리 갖추고 있어야 함.

    - 원산지 증명서, 납품업체에서 받은 원자재 확인서 등의 관련 서류는 통관일로부터 5년 동안 보관해야 함.

    - 미국 소비자 제품 안전 위원회(CPSC; Consumer Product Safety Commission)에서는 미국에서 생산, 판매 및 유통되고 있는 모든 소비재를 소비자 안전법안에 따라 규제하고 있으며, 특히 유아 및 어린이의 접근이 가능한 모든 제품의 안전성에 초점을 두고 있음.

    - 2008 8월에 개정된 소비자 제품 안전 개선법안(Consumer Product Safety Improvement Act) 2008 11 12일 이후에 생산된 모든 수입 소비자 제품에 대해 안전성 테스트 증빙을 미리 갖추고 제품 통관 시 미국 세관이 증빙을 요구할 경우 의무적으로 제출할 것을 요구하고 있음.

    - 한편, 캘리포니아주로 수출하는 제품의 경우 해당 제품에 ‘Proposition 65’에서 지정하는 유해 독성물질이 기준치 이상 함유돼 있거나 발생하는지 사전에 검토해 독성물질이 노출될 경우 OEHHA의 규정에 따라 경고문을 부착해야 함. 캘리포니아 Prop 65에 관한 상세 내용은 기존의 해외시장뉴스(여기)에서 확인 가능함.

 

□ 시사점

 

  ? 식을 줄 모르는 애슬레저 트렌드와 美 패션의 캐주얼화로, 스니커즈 시장은 성장세 유지할 전망

    - 글로벌 시장조사 전문기관 Euromonitor의 미국 신발류 시장 보고서(Footwear in the US, 2020 2월 발간)에 따르면, 운동화 및 스니커즈로 대표되는 인기 브랜드 Nike Adidas 2019년 미국 전체 신발류 시장의 약 1/4 규모를 점유한 것으로 집계됨.

    - 이는 운동화와 스니커즈가 전체 신발류 시장에서 실제로 매우 의미 있는 구성 요소인 동시에, 운동 목적뿐만 아니라 실생활에서 편한 착용을 목적으로 운동화·스니커즈를 구매하는 소비자들의 수요는 미국 신발 시장의 성장을 견인하는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고 Euromonitor는 분석함.

    - 한편, 올해 상반기 코로나19 팬데믹이 시작되며 미국 내 스니커즈의 매출은 한때 큰 타격을 입었음. 미국 풋웨어 업계 온라인 미디어 Footwearnews.com의 기사에 의하면, 코로나19가 맹위를 떨치던 지난 3~4 Nike, Adidas 등 대표적인 스포츠화 브랜드의 스니커즈 매출은 약 75% 감소한 바 있음.

    - 그러나 코로나19의 장기화에 따라 미국인의 재택근무 및 실내 생활 또한 지속되며 편한 일상복에 대한 수요가 급증하는 가운데, 애슬레저 트렌드 또한 당분간 지속될 것으로 전망됨. 또한 팬데믹을 겪는 와중에도 소비자들의 식료품 구매나 운동·산책 등의 일상적인 외출은 계속되기에, 이 역시 스니커즈 수요 지속에 긍정적인 영향을 끼칠 것으로 보임.

 

  ? 업계 참고사항

    - 미국 현지 이커머스 업계 구성원이자 컨설턴트인 K 매니저와의 인터뷰에 따르면, 팬데믹 초기에는 여타의 소매 분야들과 마찬가지로 스니커즈를 포함한 신발 매출 또한 심하게 곤두박질친 바 있지만, 심각했던 실업률과 경기 불황이 어느 정도 회복하기 시작하며 스니커즈 시장 역시 다시 예전의 수요를 되찾는 중으로 분석됨.

    - 대표적인 스니커즈 유통채널인 Foot Locker의 올해 6~8월 매출이 약 18% 증가했다는 소식을 들었다고 전한 K 매니저는, “홈 트레이닝에 대한 수요가 늘어나고, 가벼운 조깅이나 산책 등 가까운 곳에서의 야외 활동 또한 계속되는 지금과 같은 시기에 스니커즈 시장의 장래는 비교적 밝은 편으로 보인다.”고 덧붙임.

    - 한편, 스니커즈에 해당하는 HS Code 6404.19는 미국의 대중 통상제재인 무역통상법 301 4 A B 리스트에 포함돼, 원산지가 중국인 해당 제품에는 추가 관세가 부과됨. 4 A B 리스트 중 어디에 해당하는지는 하위분류에 따라 다르며, 4 A 리스트에 포함되는 품목의 경우 2020 2 14일부터 7.5%의 추가 관세가 부과되고 있음. 4 B 리스트 포함 품목에 대해서는 15%의 추가 관세가 부과될 예정이었으나, 현재로서는 추후 공지가 있을 때까지 추가 관세 부과가 중단된 상태임.

    - 이러한 대중 무역 제재로 인해 중국산 스니커즈의 수출은 2019년부터 소폭 감소한 바 있으며, 4 A 리스트가 발효된 올해부터는 더 큰 수입액 변동 가능성이 있음. 이는 스니커즈 제품을 미국에 수출하는 우리 기업들에 유리하게 작용할 수 있으므로 참고할 필요가 있겠음.

 

 

자료출처 : KOTRA 해외시장뉴스, 한국섬유산업연합회 ( http://www.kofoti.or.kr)